일반정보

로우레펠 포맷 방법

TIGERJUNE 2005. 9. 15. 15:07

amidiag.exe

포맷에는 하이포맷(일반포맷)과 로우포맷이 있는데,하이포맷은 하드디스크에 주소를 처음부터 끝까지 지정해 주는 것이고,로우포맷은 하드디스크를 공장에서 처음 판매될 때처럼 완전 초기화하는 것입니다. 하드를 정리하거나 바이러스 감염 등으로 일반적으로 하이포맷을 많이 사용하는데 하이포맷으로 하드의 많은 오류를 100%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하드의 오류를 100% 제거하기 위해서는 로우포맷보다 좋은 것은 없습니다. 그렇지만, 초보자에게 로우포맷은 상당한 위험부담이 따릅니다. 작업을 잘못하면, 하드 디스크를 사용할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로우포맷과, 하이포맷의 차이점 부터 이해 하도록 합시다.
농부가 논에 쟁기질을 하여 씨앗을 뿌릴수 있도록 하는것을 하이포맷에 비유한다면, 로우포맷은 논에 쟁기질을 하는것이 아니라, 논과 논의 경계(논두렁)를 허물고 다시 경계를 만드는, 즉 경지정리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본 강좌에 소개하는 방법은 두가지 입니다. 모두 각각의 유틸을 사용하여 작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포맷이던, 하드 디스크의 자료는 삭제 됨으로 중요한 자료는 꼭 백업(다른 하드 디스크에 보관) 하시길 바랍니다.

1. 로우포맷 준비


◎도스부팅이 가능한 부팅 디스크
부팅 디스크를 만들려면 아래의 URL 을 참고하세요.
http://kwin.net/cgi-bin/bbs/view.php?id=Windows&no=10

◎포맷 유틸리티를 부팅디스크에 포함
포맷유틸리티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본 강좌에서 소개할 유틸리티는 다음과 같습니다.
원하시는 유틸리티를 다운로드 하여 부팅 디스크에 저장합니다.
loformat.exe amidiag.exe
사용경험상 amidiag.exe 을 추천합니다.

◎바이오스에서 하드 디스크 모드 설정변경하기.
로우포맷을 하실려면, 메인보드의 바이오스에 들어갑니다.
부팅시 화면에 메모리 체크할때, 키보드의 Delete 또는, F2 를 누르면 됩니다.
사용하는 메인보드의 바이오스 프로그램에 따라 다를수 있습니다.


로우포맷할 하드 디스크의 모드를 LORMAL 또는 OFF 모드로 설정합니다.
만약, 설정하는곳이 위 그림처럼 나오지 않고 , 여러개이 모드설정란이 있다면,
LBN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시면 됩니다.

이제, 로우포맷 준비가 완료되었습니다.

2 로우포맷 전 알아야 할 사항


◎로우포맷으로 고장난 모든 하드 디스크를 고칠수 있는것은 아닙니다.
로우포맷은 하이포맷으로 하드디스크의 에러를 치료할수 없을때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후의 수단으로 생각해야하며, 만약 작업실패시 하드 디스크를
사용못할수도 있습니다.

◎로우포맷작업 중간에 전원이 끊기면, 절대 안됩니다. (복구 불능)
작업중 전원이 끊기면, 복구가 불가능합니다.
바이오스에선 하드 디스크의 정보를 읽을수 있지만, 사용할수 없는 상태가 됩니다.
이땐, 하드 디스크를 폐기 처분 또는, 제조사의 A/S 센터를 이용하셔야 합니다.
사용자가 로우포맷을 하는것 또한 올바른 방법이 아닙니다.
하드 디스크의 고장시는 제조사의 A/S 를 이용하는것이 가장 바랍직합니다.

본 강좌를 수행하다 하드 디스크가 손상되어도 강좌 작성자는 책임을 질수없습니다.

3 AMIDIAG.EXE 를 이용한 로우포맷


◎위에서 작업한 부팅디스크를 플로피 드라이브에 넣고 컴퓨터를 부팅합니다.
◎부팅완료상태에서 도스화면에서, AMIDIAG 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릅니다.
◎그러면, 아래의 화면이 나옵니다.


◎프로그램의 로그화면입니다. 그냥 [Enter] 합니다.


◎[Esc] 키를 누릅니다.


◎방향키를 이용해서 HARD DISK 메뉴로 이동하여 부메뉴인
HARD DISK FORMAT 에서 ENTER를 합니다. (위 그림 참고)

Disk Drive (C/D)에서 포맷할 하드 드라이브를 선택합니다.
만약, 하나의 하드 디스크만 설치되어 있다면, 설정을 할필요가 없겠죠...^^ (아래 그림 참고)

Disk Drive type를 설정하기 위해서 먼저 아래 그림을 자세히 보시면,
① 항목에 디스크 타입을 설정하는 항목이 실행되면, 우측의 ② 항목이 나옵니다.
여기서 반드시 USER을 선택합니다. 그림의 붉은색으로 표시된 부분 입니다.
이동은 키보드의 방향버턴을 이용하고, 선택은 [Enter] 하면 선택됩니다.


◎위의 그림에서 USER를 선택하면, 아래의 화면이 나옵니다. 그냥 [Enter] 합니다.


◎그 이외의 나머지 항목( 아래 화면 참고)인 ③ ~ ⑧ 까지는 모두 [Enter] 합니다.


◎마지막 항목인 Proceed(Y/N) 항목인 항목은 [Y] 를 입력합니다.
이 항목은 로우포맷을 할것인지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Enter] 를 누르면, 다시한번더 경고 메세지가 나옵니다.

◎이제 필요한 정보는 모두 입력되었습니다.
작업을 하기 전에 경고 메세지가 나옵니다. (아래 화면 참고)
작업을 진행하면, 모든 자료를 잃게 된다는 메세지입니다.
[Y]을 입력하고 [Enter] 를 누르면 실제로 로우포맷이 진행됩니다.


◎포맷은 많은시간이 소요됩니다.
아래화면에서 붉은색 선으로 표시된 부분의 숫자가 계속 증가하는것이
현재 로우포맷을 진행하고 있다는 뜻이고, 작업이 완료되면, 화면중앙에
노란색으로 표시된 메세지가 나옵니다.
만약, 하드 디스크의 치명적인 문제로 인해 로우포맷이 실패했을 경우는 에러메세지가 출력됩니다.

◎이상으로 AMIDIAG.EXE 를 이용한 로우포맷이용한 로우포맷을 살펴봤습니다.
포맷후에 해야할 사항은 본강좌 5번 항목을 보시길 바랍니다.

4 LOFORMAT.EXE 를 이용한 로우포맷


◎플로피 부팅 디스크로 부팅완료한 도스상태에서, LOFORMAT 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릅니다.
◎아래의 화면처럼 나오면, ① 항목을 선택한후(방향키 이용) [Enter]를 누릅니다.
◎그러면 ② ③의 메뉴가 나오는데, 모두 [Y]를 입력합니다.
◎③ 번항목에 [Y]를 입력하면 다시 한번더 확인을 하는 ④ 항목이 나옵니다.
◎④ 항목이 나오면 이것도 역시[Y]를 입력합니다.
◎그러면 로우 포맷이 진행됩니다.


◎위의 과정을 거치면 포맷하는 과정이 나옵니다.
하드에 이상이 없다면 그냥 끝나고,만약 베드 섹터 하드의 고장이 있다면 진행이 안됩니다.
이러한 하드는 A/S를 받거나 교체를 해야합니다.

5 로우포맷후 작업사항


◎로우포맷이 완료되었으면, 포맷한 하드를 사용하기 위해선 다음의 절차를 거쳐야 됩니다.

1. 바이오스에서 수정한 하드 디스크 모드를 원상태로 환원합니다.
로우포맷을 하기위해, NORMAL 또는 OFF 모드로 설정한 값을 원래의 값으로 환원합니다.

2. FDISK를 이용하여 파티션 작업을 합니다.
파티션을 나누지 않더라도, FDISK를 이용하여 하드 디스크 전체를 하나의 디스크로
사용한다고 설정을 해야 합니다. FDISK에 대한 자세한 사용법은 아래의 URL 을 참고하세요.
http://kwin.net/cgi-bin/bbs/view.php?id=Computer&no=16

3. 하이포맷을 해야 합니다.
하이포맷( 일반포맷)사용법은 아래의 URL을 참고하세요.
http://kwin.net/cgi-bin/bbs/view.php?id=Computer&no=15

6 로우포맷 강좌를 마치며...

가장 중요한것은 로우포맷을 하지 않도록 하는것입니다.
언제나 하드디스크 관리를 정기적으로 하여 로우포맷 상황까지 만들지 않는것이 중요하겠네요.
하드 디스크를 잘 관리하시려면, 디스크 검사 또는 조각모음 등을 정기적으로 하시길 바람직합니다.
본강좌의 이미지들은 다른 사이트 획득하여, 나름되로 수정하여 사용했습니다.

출처 : http://kwin.net/cgi-bin/bbs/view.php?id=Computer&no=34